반응형
우리는 하나의 변수에 여러가지 데이터를 담을때 array ( 배열 ) 을 사용해왔다.
하지만 , array는 크기가 정해져있고 크기를 변경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.
그러면 이것에 대한 대응책도 있지않을까 ?
바로 그게 Vector 이다.
Vector 는 가변적인 배열이라고 생각하면된다. 공간이 꽉차서 자료를 널수없다면 알아서 늘어난다.
Vector의 생성법은 꽤 간단하다.
import java.util.*;
Vector v = new Vector(); // Vector 생성
Vector v2 = new Vector(3); // 크기가 3인 Vector 생성. 꽉차면 자동적으로 늘어남.
Vector v3 = new Vector(3,2); // 크기가 3인 Vector 생성. 꽉차면 공간이 2개씩 늘어남.
이제 Vector에 자료를 넣어보자.
그전에 Vector는 non - primitive type이라는것을 인지해야된다.
non - primitive type 에는 어떻게 자료형을 넣어야 되는가 ?
바로 앞에서 배운 Wrapper class를 이용하여 넣으면 된다.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Test
{
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 args[])
{
Vector v = new Vector();
for(int i = 0 ; i < 10 ; i++)
{
v.add(new Integer(i));
}
for (int i = 0 ; i < 10 ; i ++)
{
System.out.println(v.get(i));
}
}
}
public class Test
{
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 args[])
{
Vector v = new Vector();
for(int i = 0 ; i < 10 ; i++)
{
v.add(new Integer(i));
}
for (int i = 0 ; i < 10 ; i ++)
{
System.out.println(v.get(i));
}
}
}
자료를 추가할땐 add(Obejct) 를 얻어올때는 get(index) 를 사용하여 자료를 컨트롤 할 수 있다.
Vector는 가변적인 용량이 필요할 경우 , 예를 들면 채팅 내용 처럼 계속 늘어나는 데이터를 처리해야 될때 쓰인다.
Vector는 꽤 유용하므로 알아두는게 좋다.
반응형
댓글